□ “현재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연구 개발 중인 궤간가변장치는 궤간이 다른 국가사 이에서 발생하는 환적이나 대차교환에 따르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 할 수 있 으며... ”
□ 남북 철도만 연결되면 금세 러시아까지 달려갈 수 있을 것 같은데 ‘궤간’의 차이 가 있어 ‘궤간가변 장치’가 필요하다니, 대체 ‘궤간’은 무엇이며, ‘궤간가변 장 치’는 또 무엇일까?
□ 이렇게 철도 용어가 궁금할 때 펼쳐 볼 수 있는 ‘철도대사전’(골든벨, 1359)을 한 국철도기술연구원 백남욱, 이병송 책임연구원과 위덕대학 교의 이상진 교수가 펴냈다.
□ ‘철도대사전’은 흔히 사용하지만 쉽게 정의하지 못하는, 혹은 처음 들어보는 난해 한 기술까지 철도기술 용어들을 총 망라해 정리했다. 철도의 오래된 기술용어부 터 거듭된 발전을 통해 새롭게 나타난 용어들을 살펴보며 올해로 108주년을 맞 은 철도 역사의 변모도 살펴볼 수 있다.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채남희 원장은 “철도기술의 세세한 설명을 통해 철도기술의 이해를 높이는데 큰 공헌을 할 것으로 기대 된다”고 전했다.
* 궤간 : 궤도에 있어 한 레일과 마주보는 레일과의 거리. * 궤간가변장치 : 하나의 대차로 2종류 이상의 다른 궤간을 주행할 수 있도록, 차륜 의 위치를 궤간에 맞추어서 변경할 수 있는 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