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철도기술연구원(원장 최성규, 崔成圭)은 도시철도시스템의 기술과 국ㆍ내외
연구동향 등을 집대성한 <도시철도시스템 기술의 이해>를 발간하였다.
□ ‘환경’과 ‘경제’가 가장 뜨거운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이즈음, 도시철도는 단연 돋
보이는 교통수단이다. 에너지 효율, 친환경, 정시 운행, 대량 수송, 안전성 면에서
도시철도는 단연 돋보인다. 이 때문에 세계 각국에서 앞 다투어 다양한 도시철도
시스템을 개발․운행하고, 관련 기술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 우리의 경우 서울과 부산등 대도시에서 하루 평균 830만 명의 승객이 이용하는
가장 친근하고 대중적인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지만, 도시철도시스템 전
반을 살펴볼 수 있는 전문 서적은 거의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전 세계적으
로 도시철도가 갖고 있는 중요성과 가능성에 비춰볼 때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
다.
□ 이번에 발간된 <도시철도시스템 기술의 이해>는 도시철도시스템의 개념부터 향
후 발전 방향까지 본격적으로 다룬 전문서적이자 실용서로서 그 의미가 크다. 특
히, 최근 이슈가 되었던 경량전철시스템 등 다양한 도시철도시스템과 향후 도시철
도시스템기술의 발전방향 등에 관한 자세한 정보를 담고 있어, 체계적이고 전문적
인 정보에 목말랐던 연구자들과 철도 산업체 및 건설․ 운영기관 실무자를 비롯
해, 날마다 도시철도를 이용하는 일반인들에게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
로 기대된다.
※ 도시철도란?
도시교통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도시교통권역에서 건설·운영하는 철도·모노레일
등 궤도에 의한 교통시설 및 교통수단.
우리나라에서는 1899년 운행을 시작한 노면전차가 그 처음으로 꼽힌다. 대중교통
으로서의 전차의 등장은 우리나라 도시교통에서 혁신적인 사건이었고, 서울의 많
은 모습을 변화시켰다. 그러나 도시의 급격한 성장에 따라 전차시대는 1966년에
막을 내리고, 1974년 8월 서울지하철 1호선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지하철시대가
열렸으며, 2007년 11월 서울과 부산 등 대도시에서 총 영업거리 773km, 보유전동
차 7,177량, 1일 이용 승객 830만 명을 수송하는 매우 중요한 대중 교통수단으로
성장했다.
※ KRRI ‘철도기술총서’ 시리즈
한국철도기술연구원(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은 ‘철도기술총서’ 시리즈
를 통해 우리 철도기술 발전에 밑거름이 될 연구 성과 및 각종 자료를 책으로 펴
내고 있다. 이번 <도시철도시스템 기술의 이해>는 총서 제2호에 해당하며, 1호로
발간된 <과학기술로 달리는 철도>는 전문가뿐 아니라 일반인들까지 쉽고 재미있
게 ‘철도의 모든 것’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교양과학서로서 평가받은 바 있
다.
KRRI 철도기술총서 제2호
<도시철도시스템 기술의 이해>
발간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저자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판형 : 신국판 변형
면수 : 516쪽
발행일 : 2008년 2월 25일
ISSN : 89-88265-11-6 93550
발행 : 도서출판 큐라인
공급 : 화남출판사
가격 : 35,000원
※ 붙임 : <도시철도시스템 기술의 이해> 목차
목 차
제Ⅰ부 도시철도시스템 기술
도시철도시스템의 개요
도시철도시스템의 계획
도시철도시스템 기술의 구성
국내․외 도시철도시스템의 현황과 특징
도시철도시스템 표준화
제Ⅱ부 운행방식 및 종류별 도시철도시스템
중량전철시스템
AGT 형식의 경량전철
바이모달 트램시스템
리니어지하철
모노레일시스템
노면전철시스템
도시형 자기부상철도시스템
소형전철시스템
가이드웨이 버스
기타 시스템
제Ⅲ부 도시철도시스템 기술의 발전방향
도시철도시스템 기술의 발전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