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연,‘GTX 철도역사 대심도용 승강기 전력량 해석기술’이전
- 작성자홍보협력실
- 등록일2021-09-29 08:34:33
- 조회수899
- 파일
- GTX 승강기 다중 운행에 따른 전력량 해석 전력절감 지원 -
□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하 철도연, 원장 한석윤)은 ‘GTX 철도역사 대심도용 승강기 전력량 해석기술’을 중소기업에 이전했다.
ㅇ GTX와 같은 대심도 철도역사의 승강기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것으로 대심도 철도역사 승강기의 전체 소비전력량을 산출하고 회생에너지를 활용하는 경제적인 기술이다.
□ GTX 철도역사는 10여대의 승강기가 60~70m를 동시에 운행하기 때문에 정밀한 전력소비량 해석을 위해서는 전체 승강기의 다중운행 조건에서 소비전력량을 산출해야 한다.
ㅇ 하지만, 고층형 승강기에 대한 소비전력 해석은 각각의 승강기별로 이루어지고 있어 전체 전력소비량 예측뿐만 아니라 회생에너지 활용장치 도입 등 전력에 대한 경제성 분석은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 GTX 철도역사 대심도용 승강기 전력량 해석기술은 실제 운행될 승강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승강기 다중운행 전력해석과 회생에너지 활용장치 도입에 따른 경제성을 평가한다.
ㅇ 승강기의 상승 하강에 따른 소비전력과 회생전력을 계산하는 전력계산식, 승강기 탑승객 및 이동 층수 모델링에 의한 전력해석, 회생전력 적용에 따른 경제성 평가 기술 등을 구현했다.
ㅇ 또한, 초고층 승강기 설계 및 회생에너지 활용장치 도입 전후의 경제성 평가를 위한 자동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 관련 연구과제
- 가상화기반 철도역사 스마트 에너지 관리 및 성능평가 기술개발
(연구기간: 2021. 1. ~ 2023. 12. / 연구책임자: 정호성 철도연 수석연구원)
ㅇ 승강기 타워 및 초고층 아파트 승강기의 실제 운행 및 전력소비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해석의 정밀도를 높였다. 실제 초고층 아파트 승강기에 회생전력 활용설비를 설치하면 설치 전 대비 약 30%의 전력소비량이 절감되는 것을 확인했다.
□ 정호성 철도연 수석연구원은 “GTX 대심도 철도역사는 물론이고, 고층 또는 초고층 승강기의 전력해석 및 전력소비량을 절감하는 연구를 계속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한석윤 철도연 원장은 “GTX 대심도 철도 건설과 운영을 위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기술이다”며, “철도연의 기술이 중소기업 육성과 철도산업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참고자료:
1. GTX 대심도 철도역사 다중운행 승강기 개념도
2. 대심도용 승강기 다중운행 전력량 해석 자동화 프로그램 화면
<GTX 대심도 철도역사 다중운행 승강기 개념도>
<전력량 해석 결과화면>
<경제성 분석 결과화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