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행사

보도자료

철도연, 철도 인프라 BIM 통합운영시스템 개발

작성자홍보협력실

등록일 2023-12-13

조회수2909



- 철도 인프라 생애주기를 관리하는 새로운 패러다임 -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하 철도연, 원장 한석윤)은 ㈜유코아시스템과 공동으로 ‘철도 인프라 건축 정보 모델(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이하 BIM) 통합운영시스템’을 개발했다.


철도 인프라 BIM 통합시스템은 철도 인프라의 계획에서부터 설계, 시공, 유지관리에 이르기까지 전체 생애주기에 필요한 정보 및 모델 등을 작성하는 BIM 기술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발주처 기반의 플랫폼이다.


공통데이터 환경과 웹 기반의 국제표준형식 IFC 전용 뷰어 등을 구현하여 발주처, 설계사, 시공사, 감리사 등 다양한 사업 참여자가 실시간 협업할 수 있다.

BIM 라이브러리※ 작성, 디지털 모델 표준유형 및 품질관리, 전자납품, 4D 공정관리 및 물량·공사비 산출 등 핵심모듈을 탑재 또는 연계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활용성을 극대화했다.


※ 라이브러리: 프로그래밍에 사용할 수 있게 미리 만들어져 있는 함수나 변수들의 묶음


또한, 국가철도공단의 기존 사업관리시스템과 연계성을 확보하여 향후 사업관리의 단계적 전환이 가능하다.


국토교통부는 2030년 건설 전 과정의 디지털화·자동화를 목표로 하는 ‘스마트건설 활성화 방안(2022)’을 제시했으며, 지난 7월, 1천억 원 이상 대형 공공공사의 발주 단계에서 BIM을 활용하도록 ‘대형공사 등의 입찰방법 심의기준’을 개정했다.


앞으로 철도사업 전 단계에 BIM 도입이 예정되어 있어 BIM을 수행할 통합플랫폼이 필요한 상황이다.


개발된 ‘철도 인프라 BIM 통합운영시스템’은 2024년까지 월곶-판교 복선전철 1공구, 6공구 등에서 시범사업으로 성능평가와 신뢰성 검증을 진행한다. 이후 국가철도공단 등 공사 발주처의 시스템 구축을 위한 핵심기술로 제공될 예정이다.


철도연은 국토교통부 국가R&D사업으로 2020년부터 ‘철도 인프라 생애주기 관리를 위한 BIM 기반 통합운영시스템 개발 및 구축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국가철도기술공단, 우송대학교, ㈜유코아시스템(주) 등 13개 연구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 관련 연구 과제(전문기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과제명: 철도 인프라 생애주기 관리를 위한 BIM 기반 통합운영시스템 개발 및 구축

- 연구기간 및 연구비: 2020. 4 ~ 2024. 12(4년8개월), 187억원(정부출연금)

- 연구책임자: 박영곤 철도연 첨단궤도토목본부장


박영곤 철도연 첨단궤도토목본부장은 “철도 인프라 BIM 통합운영시스템은 계획,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 등 전 생애주기에 걸쳐 철도 인프라 운영관리의 패러다임을 혁신하는 기술”이라며, “내년에 진행되는 시범사업으로 성능검증과 신뢰성을 확보하여 실용화에 전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철도연 한석윤 원장은 “BIM 통합운영시스템 개발로 인공지능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철도 인프라의 운영관리가 가능해졌다”라며, “철도 건설산업의 생산성 및 품질 향상, 안전성 제고가 기대”된다고 전했다.




※참고: 철도 인프라 BIM 통합운영시스템 구성도 및 관련 이미지



참고 1 철도 인프라 BIM 통합운영시스템 구성도 및 관련 이미지


<철도 인프라 BIM 통합운영시스템 구성도>




시범사업 1구간 시범사업 2구간

<철도 인프라 BIM 통합운영시스템 구축 및 사용 모습>



<통합운영시스템 성능검증을 위한 시범사업 계획>




시범사업 1구간 시범사업 2구간

<시범사업 리스크 관리 모델>



컨텐츠 담당자

  • 담당부서 : 홍보문화실
  • 연락처 : 031-460-5183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