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연구사업
KRRI NEWS
- 철도연 소식
-
연구원 공지사항
제5회 한영 국제철도안전인증기관 공동세미나 초청장
안녕하십니까.제5회 한영 국제철도안전인증기관 공동세미나 안내드립니다.세미나 참가를 위한 사전등록 링크https://forms.office.com/e/PXCZt2400X?origin=lprLink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가 바랍니다.감사합니다.
2025-04-01
2025 국민행복증진 철도·대중교통·물류 아이디어 공모“국민 교통·물류 불편을 기술로 해결한다!”2025 국민행복증진 철도·대중교통·물류 아이디어 공모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에서는 교통·물류 불편을 해소하고 국민 행복 증진을 위하여 국민으로부터 철도·대중교통·물류 아이디어를 제안받고 이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오니 공모전에 많은 참여 바랍니다. 1. 목적 ㅇ 교통·물류 불편을 해소하고 국민 행복 증진을 위한 기술 개발을 위하여 대국민 대상 철도·대중교통·물류 관련 아이디어 공모 - 국민이 기술·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연구원이 관련 기술 개발 예) (국민제안) 교통약자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면 좋겠다. (철도연) 평면승하차를 위한 저상버스․트램 기술 개발 2. 일정 ㅇ 공모기간 : 2025년 2월 27일(목) ~ 3월 19일(수) 18:00까지 ㅇ 결과발표 : 2025년 4월 중 개별 통지 및 홈페이지 공지 ㅇ 시상일정 : 2025년 4~5월 중 개별 통지 ㅇ 월별일정 요약2월, 3월, 4월 일정 요약 표 2월3월4월일정준비공모공모(계속)1차 평가2차 평가내부 직원투표발표 및 시상(4~5월) ※ 상세일정은 주최 측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3. 공모 대상 ㅇ 철도·대중교통·물류를 이용하고 있는 국민 누구나 4. 공모 주제 구분, 세부주제로 구분 된 공모주제 표구분세부 주제안전한 교통더 안전한 교통 기술 또는 아이디어 제안“더 안전한 철도와 대중교통이 되기 위해서는 어떤 기술이 필요할까?”편리한 교통·물류더 편리한 교통·물류 기술 또는 아이디어 제안“집까지 편리하게 이동하려면 지금까지 없던 이런 기술이 필요하겠어!”“더 효율적인 물류 이동을 위한 기술에는 어떤 것이 필요할까?”미래 지향적 교통·물류미래 사회 교통·물류 시스템에 맞는 기술 또는 아이디어 제안“내가 그려보는 2050년 우리나라 교통·물류 시스템의 청사진” 5. 공모 방법 ㅇ 아래 온라인 링크의 양식을 작성하여 제출 - https://bit.ly/krri_idea2025 ※ 1. 참가신청서 2. 개인정보 수집 및 활용동의서 3. 공모전 참가 서약서(*서명란 자필 서명 필수) ※ 3월 19일(수) 18시까지 참가 서류가 도착한 경우만 인정(서류 미비 시 무효 처리) ※ 다수의 아이디어 응모 가능 ※ 본 파일 또는 연구원 홈페이지 양식 활용 가능(https://www.krri.re.kr/ - 소개 – 공지사항 – 연구원 공지사항) 6. 심사 방법 ㅇ 선정과정공모, 1차평가, 2차평가, 직원 투표 및 최우수상 선정, 시상 으로 구분된 선정과정 표공모 1차 평가 2차 평가 직원투표 및 최우수상 선정 시상공고일로부터 ~ 3. 19.⇨3월·심사위원 구성·서면 평가· 2배수 선정(16개)⇨4월·심사위원 구성·공모자 보충자료 요청·서면 또는 발표평가·1배수 내외 선정(8개)⇨4월·1배수 대상 직원투표 실시·1인당 상위 3개 선정 투표 진행- 1등: 100점, 2등: 90점, 3등: 80점, 나머지: 70점·점수 합산을 통한 최우수상 선정- 2차평가 점수(40%)*+직원투표(60%)**⇨4~5월 ※ 1차 서면평가 후 상세자료 요청 예정, 2차 평가방법(서면 또는 발표)은 추후 평가 위원회에서 결정 ㅇ 심사기준구분, 심사항목으로 구성된 심사기준 표구분심사항목1차창의성(80) / 제출서류 작성의 충실성(20)2차중복성(유/무) / 기여도 및 파급효과(100)직원투표기술성, 구현 가능성7. 시상 내역구분, 포상 인원 및 규모로 구성된 시상내역 표구분포상 인원 및 규모우수 제안최우수상 1명 / 표창장 및 100만원 상당우수상 2명 / 표창장 및 50만원 상당장려상 5명 / 상장 및 20만원 상당 ※ 모집된 아이디어 수준과 개수에 따라 포상 인원 및 규모는 조정될 수 있음 8. 문의 ㅇ KRRI 아이디어 공모 운영 사무국 ✆ 044-862-7962 ✉ krri.idea@gmail.com 홈페이지 https://www.krri-idea.org/
2025-02-27
[알림] 창립 29주년기념 세미나 '한계를 넘다! 고속·대용량 철도기술의 혁신' 개최
2025-02-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 원장 초빙2025-02-03
-
입찰공고
제2025-122호 압축공기 공급장치(왕복동식, 해외공급사)의 기술기준 현장 적용성 3자
(입찰공고) 제2025-122호 압축공기 공급장치(왕복동식, 해외공급사)의 기술기준 현장 적용성 3자 검증 용역□ 기타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기 타: 첨부파일이 열리지 않을 경우 인터넷 옵션 → 고급 → 탐색-URL을 항상 UTF-8로 보냄의 Check를 풀어주세요
2025-04-24
(입찰공고) 제2025-121호 고속차량 기술기준 개정에 따른 경제적 효과 분석(입찰공고) 제2025-121호 고속차량 기술기준 개정에 따른 경제적 효과 분석□ 기타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기 타: 첨부파일이 열리지 않을 경우 인터넷 옵션 → 고급 → 탐색-URL을 항상 UTF-8로 보냄의 Check를 풀어주세요
2025-04-24
(재공고) 제2025-120호 R-bar 애자 자동감지 장치 및 자동세척 모듈 제작(재공고) 제2025-120호 R-bar 애자 자동감지 장치 및 자동세척 모듈 제작□ 기타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기 타: 첨부파일이 열리지 않을 경우 인터넷 옵션 → 고급 → 탐색-URL을 항상 UTF-8로 보냄의 Check를 풀어주세요
2025-04-22
제2025-119호 협궤용 궤간변환 부품 내구성 확보 및 완성기관차 시운전 안정화 설계시험(입찰공고) 제2025-119호 협궤용 궤간변환 부품 내구성 확보 및 완성기관차 시운전 안정화 설계 시험평가□ 기타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기 타: 첨부파일이 열리지 않을 경우 인터넷 옵션 → 고급 → 탐색-URL을 항상 UTF-8로 보냄의 Check를 풀어주세요
2025-04-22
-
채용공고
2025년 정규직(연구직·행정직) 채용
입사지원서작성 바로가기(Click)
2025-03-04
2024년도 제2차 하반기 비정규직 채용 (원장 차량 운전, 스마트워킹시스템 운영 분야)
2024-11-21
-
보도자료
철도연, 디지털 철도기술 공유를 위한 한영 공동세미나 개최
- 한·영 전문가들 철도 디지털화 기술 및 안전인증 논의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하 철도연, 원장 한석윤)은 영국 리카르도레일(대표: 마이클 뉴먼)과 공동으로 4월 10일 오후 2시,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제5회 한·영 철도안전인증기관 공동세미나를 개최했다.이번 세미나는 국토교통부와 주한 영국대사관 후원으로, 철도연과 리카르도레일이 공동 주관했으며, 2017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다. 이번 행사에는 국토교통부, 주한 영국 및 이스라엘 대사관, 철도 운영기관 및 기업 등 약 150여 명이 참석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철도시스템의 디지털화(Railway Digitalisation)’를 주제로 열린 이번 세미나에서는 글로벌 디지털 철도 기술 사례와 함께, 효율성과 편의성은 물론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최신 기술과 제도들이 소개됐다.특히,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철도 안전 혁신과 한·영 협력 확대 방안이 주요 의제로 논의됐다.철도연은 디지털 전환과 안전인증 분야의 연구성과를 발표했다. 신경호 철도연 책임연구원은 한국형 열차제어시스템(KTCS) 적합성 평가 체계 구축 연구를 소개하며, 열차제어시스템 수출을 위한 필수 요건과 국내기업의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이강미 철도연 책임연구원은 철도연이 개발한 개방형 RAMS 플랫폼을 통해 제조사의 안전인증 업무의 효율화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을 발표했다.해외 사례 발표도 이어졌다. 리카르도레일의 트리스탄 반 후크(Tristan van Hoek) 유럽총괄대표는 네덜란드와 덴마크에서 유럽형 열차제어시스템(ETCS Level 2)을 적용한 사례를 통해 국내 경부고속철도에 적용가능한 시사점을 공유했다.줄리앙 르그란드(Julien Legrand) 리카르도레일 수석컨설턴트는 해외 철도사업 참여에 필수적인 사이버 보안 인증 관련 규제 및 표준, 리카르도레일의 안전인증 사례를 소개하며, 한국 철도의 해외진출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했다.주한 이스라엘대사관도 참여하여 이스라엘 철도 프로젝트의 디지털 기술 적용 사례와 기술 협력 가능성에 대해 발표했다. 타마르 마론 코셔(Tamar Maron Kosher) 상무참사관은 이스라엘의 디지털 혁신 사례를 소개하며, 국내 기업과의 협력 확대를 제안했다. ※ 주제발표 - 디지털 철도 시대의 적합성 평가 (발표 : 신경호, KTCS-2 적합성평가 연구책임자) - 유럽에서의 ERTMS 운영 현황 (발표 : Tristan van Hoek, Ricardo Rail 유럽총괄대표) - 이스라엘 철도의 기술 혁신 (발표 : Tamar Maron Kosher, 주한이스라엘대사관 상무참사관) - 철도 안전인증지원을 위한 개방형 RAMS 플랫폼 (발표 : 이강미, RAMS플랫폼 연구책임자) - 철도시스템의 사이버보안 (발표 : Julien Legrand, Ricardo Rail 사이버보안 수석컨설턴트)철도연과 리카르도레일은 2015년 철도안전 공동인증 협정을 체결한 이후, 철도안전 인증결과의 상호 수용과 철도시스템 및 제품의 공동안전 평가를 단계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도시철도용 열차제어시스템(KTCS-M)에 대해서도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한석윤 철도연 원장은 ”글로벌 디지털 철도 기술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철도기술의 해외 진출을 활성화하기 위해 국제 협력체계와 산업지원 기반 마련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겠다”고 밝혔다.※참고 : 세미나 사진참고1 제5회 한-영 철도안전인증기관 공동세미나 사진참고2 제5회 한-영 철도안전인증기관 공동세미나 초청장[안]
2025-04-11
철도연, 흡음재 없이 소음 줄이는‘피쉬본 소음기’ 개발 - 물고기 뼈 구조에서 착안, 혁신적인 소음 저감 기술 구현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하 철도연, 원장 한석윤)이 생체 모사 기술을 적용한 물고기 뼈 모양의 ‘피쉬본(Fishbone) 소음기’를 개발했다. 이 소음기는 기존 방식과 달리, 소리를 흡수하는 재료, 흡음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높은 소음 저감 효과를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소음기는 철도 차량과 터널, 환기 덕트, 산업용 배기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소음을 줄이는 역할을 하고 있다. 기존 덕트형 소음기는 흡음재를 사용하여 소음을 줄이는 방식이었으나, 습기에 약하고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금속재를 많이 사용해 무겁고 비용 부담이 컸다. 철도연 연구진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음이 특정 방향으로 반사되거나, 소리끼리 부딪혀 약해지는 효과를 유도하는 내부 칸막이, 스플리터를 피쉬본 모양으로 설계했다. 이를 통해 흡음재 없이도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했다. 특히, 공기 흐름과 소음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분석하는 과학적 접근 방식을 적용했다. 2차원 및 3차원 전산 해석을 통해 다양한 구조를 시험하여 최적 설계를 도출하고, 공인 시험기관의 실험으로 신뢰성을 확보했다.피쉬본 소음기는 어류의 등뼈, 피쉬본 구조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만들어진 독창적인 설계를 적용했다.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가느다란 구조(리브, Rib)가 소음을 분산시키고, 반사하여 저감하는 역할을 한다. 기존 소음기는 주로 흡음재를 활용해 소음을 줄였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성능이 저하되거나 유지보수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피쉬본 소음기는 흡음재 없이도 소음을 효과적으로 줄이며, 공기 흐름을 최적화해 소음이 적게 퍼지도록 돕는다. 또한, 개폐형 구조를 적용해 유지보수가 쉬워 비용도 절감 효과도 기대된다.※ 관련 연구과제- 과제명 : 메타 및 디지털트윈 기반 철도소음 최적화 기술개발(철도연 기본사업)(연구기간: 2024. 1. ~ 2026. 12. / 과제책임자: 노희민 철도연 책임연구원)공인시험기관에서 진행한 성능 시험 결과, 피시본 소음기는 500~5000Hz 주파수 대역에서 기존 방식 대비 평균 10dB 이상의 소음 저감 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신슐레이터(Thinsulate) 계열의 흡음재를 외부에 보강할 경우 소음 감소 효과가 더욱 극대화되었으며, 소음 저감 성능뿐만 아니라 공기 흐름이 20% 이상 원활해지는 효과도 확인됐다.노희민 철도연 책임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자연에서 영감을 얻은 혁신적인 기술로, 흡음재 없이도 효과적으로 소음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과 차별화된다”며, “유지보수 비용 절감과 친환경성을 갖춘 피쉬본 소음기를 실용화하여 철도 차량과 인프라에 폭넓게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한석윤 철도연 원장은 “피쉬본 소음기의 개발은 친환경 K-철도기술의 발전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라며, “정부 및 철도 운영기관과 협력해 소음 저감은 물론 지속 가능한 철도 기술 혁신을 이루기 위한 연구를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전했다.참고1 | 덕트 내 피쉬본 소음기 기술 소개 자료■ 사진설명 : 노희민 철도연 책임연구원이 개발한 피쉬본 소음기의 내부 축소 모형이다.■ 사진설명 : 철도연 노희민 책임연구원이 개발한 피쉬본 소음기의 실제 형상이다. 왼쪽은 내부 장착 전 모습이고, 오른쪽은 내부 장착 후 모습이다.■ 사진설명 : 피쉬본 소음기의 설계 형상 및 해석 모습■ 공인시험기관 성능검증 성적서
2025-03-12
철도연,‘시멘트 제로 PSC 침목’세계 최초 철도 운영선 시험 설치- 탄소중립 실천 및 지속 가능한 ESG 경영 기반 마련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하 철도연, 원장 한석윤)은 탄소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인 ‘시멘트 제로 콘크리트 철도 침목(C2S(Cementless to Sustainable) Railway Sleeper)’의 현장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세계 최초로 광주도시철도 1호선 용산차량기지 입출고선에 약 50m 시험 부설했다.이번 시험 부설은 세계 최초로 개발한 시멘트 제로 콘크리트 PSC(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침목의 성능과 내구성을 실제 도시철도 운행환경에서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철도연은 산업부산물인 고로슬래그 미분말과 칼슘계 활성화제 등을 첨가해 압축강도 80MPa 이상의 친환경 콘크리트를 구현했다.시멘트는 철도 및 토목 분야에서 주요 건설 재료지만, 전 세계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의 약 8%를 차지하는 탄소 배출원으로 이번 기술의 도입은 탄소중립 및 ESG 경영 실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광주교통공사는 ‘제1차 광주광역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2024)’에 따라 기존 목침목과 시멘트 기반 PSC 침목보다 우수한 저탄소·친환경 시멘트 제로 콘크리트 PSC 침목을 시험 부설하며 그린 인프라 전환을 추진했다.이 기술이 철도 운영기관의 유지보수 비용 절감과 탄소중립 실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관련 연구과제 - 과제명 : 지속가능 철도교통을 위한 탄소중립 핵심기술 개발(철도연 기본사업) (연구기간: 2023. 1. ~ 2025. 12. / 세부주제책임자: 배영훈 철도연 책임연구원)조익문 광주교통공사 사장은 “국내 최초로 광주1호선 운영선에 시멘트 제로 콘크리트 PSC 침목을 시험 부설해 ESG 경영 확산에 앞장서고 있다”며, “탄소중립 및 ESG 경영 확산을 위해 책임감 있는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철도연 배영훈 책임연구원은 “개발된 시멘트 제로 콘크리트 철도 침목의 시험 부설을 통해 현장 적합성을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저탄소․친환경 콘크리트 배합 및 제품을 철도 건설과 유지보수 전반에 확대 적용할 추가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한석윤 철도연 원장은 “친환경 K-철도기술의 현장 시범 적용이 연구기관과 철도 운영기관 간 상용화 협력의 모범 사례”라며, “정부, 지방자치단체 및 철도 운영기관의 탄소중립 및 ESG 경영 실천에 기여하여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기술 개발에 더욱 힘쓰겠다”고 전했다.참고1 | 시멘트 제로 콘크리트 PSC 침목 현장 부설 모습사진설명 : 광주도시철도 1호선 용산차량기지 입출고선 약 50m 구간에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세계 최초로 개발한 시멘트 제로 콘크리트 PSC 침목을 시험 부설하고 있다. 사진설명 : 한국철도기술연구원과 광주교통공사는 광주도시철도 1호선 용산차량기지 입출고선 약 50m 구간에 철도연이 세계 최초로 개발한 시멘트 제로 콘크리트 PSC 침목을 설치했다. 참고2 | 시멘트 제로 콘크리트 PSC 침목 생산 과정 <콘크리트 타설 및 표면 마감> <타설 완료 후 열양생 전 상온 방치> <굳지 않은 콘크리트 플로우 시험 전경> <굳지 않은 콘크리트 물성 시험> <프리스트레스 도입 후 컷팅 및 탈형된 침목 이동> <제작 완료된 침목 적재> <재령 7일 콘크리트 압축강도 : 98.2MPa> <출하 전 침목 적재>
2025-02-26
철도연,‘한계를 넘다! 고속·대용량 철도기술의 혁신’ 창립 29주년 기념 세미나 개최하이퍼튜브 연구개발 성과 및 현황미래 교통 인프라를 위한 고속·대용량 기술 현황 및 발전 방향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하 철도연, 원장 한석윤)은 2월 20일 오후 1시, 서울 롯데월드타워 SKY31 컨벤션에서 ’한계를 넘다! 고속·대용량 철도기술의 혁신‘을 주제로 창립 29주년 기념 세미나를 개최한다. 철도기술의 최신 동향을 공유하고, 미래 교통 인프라를 위한 고속화·대용량 기술의 현황과 발전방안을 논의한다.윤진환 국토교통부 철도국장이 ’해외 철도산업·연구개발 동향과 철도정책 방향‘을 주제로 기조강연을 한다. 해외철도산업 현황, 친환경 기술과 디지털 전환 등 해외 철도산업 환경과 연구개발 동향을 분석하고, 철도안전정책과 연구개발 방향, 해외시장 진출 등 한국철도의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발표는 2개 세션에서 7개의 주제발표가 이루어진다. 세션 1에서는 하이퍼튜브 연구개발 성과와 현황이, 세션 2에서는 고속철도의 고속화와 수송용량 극대화를 위한 운행 최적화 기술이 소개된다. 세션 1 주제발표 (4편) - 하이퍼튜브 기술을 이용한 도시국가화 전략 (발표: 유소영 철도연 책임연구원) - 하이퍼튜브 추진 기술 (발표: 조정민 철도연 책임연구원) - 하이퍼튜브 차량 주행안정화 기술 (발표: 이진호 철도연 책임연구원) - 하이퍼튜브 공력 기술 (발표: 조민기 철도연 선임연구원) 세션 2 주제발표 (3편) - 휠 방식 고속열차의 고속화 전략 (발표: 최성훈 철도연 수석연구원) - 열차 가상 커플링을 적용한 열차운영 효율성 개선 (발표: 윤용기 철도연 수석연구원) - 디지털 선로 용량 산정 이슈 (발표: 오석문 철도연 수석연구원)하이퍼튜브를 주제로 진행된 세션 1에서는 하이퍼튜브 최신 연구성과와 현황이 발표된다. 유소영 철도연 책임연구원은 하이퍼튜브 등 첨단 교통기술을 활용한 도시 국가화 전략을 제시한다. 초고속 모빌리티가 국토 1시간 생활권 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탄소중립과 국토 이용 효율성 제고를 위한 속도 혁신의 필요성을 발표한다. 조정민 철도연 책임연구원은 고전압·대용량 추진전력 변환 기술, 고정밀 위치 검지·추정 등 하이퍼튜브 추진기술과 하이퍼튜브 시험선 구축 및 주행실험 결과를 발표한다. 이진호 철도연 책임연구원은 전자기 부상·안내력 제어와 주행 안정화 장치 등 하이퍼튜브의 주행 안정화 기술개발 현황을 소개한다. 조민기 철도연 선임연구원은 공기저항과 충격파 문제 해결을 위한 충격파 저감장치, 차량 및 튜브 형상에 따른 공기저항 저감 기술 등 하이퍼튜브의 공력기술을 발표한다.세션 2에서는 고속철도의 고속화와 수송용량 극대화를 위한 운행 최적화 기술이 발표된다.최성훈 철도연 수석연구원은 휠 방식 고속열차의 고속화 기술개발을 주제로 발표한다. 세계 고속철도의 운영속도 향상 현황과 함께 차량 경량화, 차세대 추진·제동 기술 등 시속 400km 이상 속도 향상 방안을 제시한다. 윤용기 철도연 수석연구원은 열차 가상 커플링 기술을 활용한 운영 효율성 개선 방안을 발표한다. 열차 간 통신을 통한 열차의 자동 연결 및 분리 구현, 수송력 30%를 향상하는 열차 간격 단축 기술 등을 소개한다. 오석문 철도연 수석연구원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선로 용량 산정방안을 발표한다. KTX 및 SRT, GTX 혼합운행 등 복잡한 운영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디지털 맵에 기반한 선로용량 분석 기술을 소개한다.한석윤 철도연 원장은 “철도교통이 미래 핵심 교통수단이 되려면 혁신적인 고속화와 대용량화가 필수적”이라며, “효율성과 안전성을 강화하는 첨단 기술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지속 가능한 사회를 견인하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참고 | 창립 제29주년 기념 세미나 프로그램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창립 제29주년 기념 세미나 Innovative technologies for high capacity rail system 한계를 넘다! 고속ㆍ대용량 철도기술의 혁신 일시 2025. 2. 20(목) 13:00~17:00 장소 잠실 롯데월드타워 31층 SKY31 컨벤션 컨퍼런스 A홀 https://www.krri.re.kr/web/contents/krri030101.do?id=23827&schM=view 모시는 글 철도교통의 고속화와 대용량 시스템 구축은 미래 모빌리티 혁신을 이끄는 핵심 요소로,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인 철도기술 구현과 철도교통 실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창립 29주년을 맞아 한계를 넘다! 고속ㆍ대용량 철도기술의 혁신을 주제로 세미나 개최합니다. 철도기술의 최신 동향을 공유하고, 미래 교통 인프라를 위한 고속화ㆍ대용량 기술의 현황과 발전 방안을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철도기술의 한계를 뛰어넘고,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이번 세미나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2025년 2월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원장 한석윤 행사일정 시간, 주요내용으로 구성된 표. 1부 12:00~13:20 등록, 접수 | 1층 등록데스크 운영 13:20~13:30 식전행사 13:30~13:40 개회사 | 한석윤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원장 13:40~14:10 기조강연 | 윤진환 국토교통부 철도국장 14:10~14:20 휴식 2부 14:20~14:40 SessionⅠ | 하이퍼 튜브 기술을 이용한 도시국가화 전략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유소영 책임연구원 14:40~15:00 SessionⅠ | 하이퍼 튜브 추진 기술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조정민 책임연구원 15:00~15:20 SessionⅠ | 하이퍼 튜브 차량 주행안정화 기술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이진호 책임 연구원 15:20~15:40 SessionⅠ | 하이퍼 튜브 공력 기술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조민기 선임연구원 15:40~15:50 휴식 15:50~16:10 SessionⅡ | 휠 방식 고속열차의 고속화 전략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최성훈 수석연구원 16:10~16:30 SessionⅡ | 열차 가상 커플링을 적용한 열차운영효율성 개선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윤용기수석 연구원 16:30~16:50 SessionⅡ | 디지털 선로 용량 산정 이슈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오석문 수석연구원 16:50~17:00 Q&A 사전등록 세미나에 참여하고자 하시는 분들은 하단의 온라인 참가 등록 링크를 통해 신청 또는 참가신청서를 다운로드하신 후 이메일로 제출해 주시기 바랍니다. 등록기한 2월 16일 까지 참가 등록하기 https://docs.google.com/forms/d/1lkCVlAVGvYx97W2G8PN6yjgCe37ykh6NJ4Ay2sLBEnU/edit 참가신청서 다운로드 https://www.cusmore.com/imgfile/ws/image/2/korea_rail_reg.docx 오시는 길 롯데월드타워 TOWER 1F 12시 NORTH GATE 1시 에스컬레이터 3시 EAST GATE 쇼핑몰 방면(반대편에 엘리베이터) 4시 참가자 등록 데스크, 엔제리너스 6시 HOTEL GATE 9시 WEST GATE 에비뉴엘 방면 11시 에스컬레이터 대중교통 이용 시 2호선 잠실역 1번 출구→롯데월드타워 1층 EAST GATE→1층 참가자 등록데스크에서 출입증 수령→E/V 31층 이동 자가용 이용 시 롯데월드타워 2,3번 주차장 진입→지하 SOUTH GATE 인근 E/V 탑승(지하 3층은 F11 기둥) → 롯데월드타워 1층 EAST GATE 이동 → 1층 참가자 등록데스크에서 출입증 수령 → E/V 31층 이동 문의처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창립 제 29주년 기념 세미나 운영사무국 T. 02-6212-2133 F. 02-6280-2130 E. krriseminar2025@gmail.com
2025-02-19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의 메일링 서비스를 신청하시면
뉴스레터의 기사들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메일을 정기적으로 발송해드립니다.